- VMWARE에서 하드- 20G, 램- 1G Virtual Machine 생성
RHEL3 설치 시작
Enter
- media test 는 Skip
- RHEL 3 설치 첫화면이 나왔다. Next
- 설치 언어는 한국어
- 키보드는 U.S.English
- 마우스 설정 다음
- 드라이브 파티션 설정 Disk Druid 를 통한 수동 파티션 설정 선택 후 다음
- 예
- 새로 생성 클릭
RHEL 3, 4 파티션 나누기 정보
20G HDD 기준
/ 7000
/boot 100
/var 1000
swap RAM의 2배 (1G로 잡았으니 2000)
/home 나머지 (오라클 설치 예정)
- /home 오라클을 설치할 곳, 나머지 용량 모두 지정
- 부트로더 설정 확인 후 다음
- 네트워크 설정 편집 클릭
- DHCP 사용 체크 해제, IP주소, 넷마스크 입력 후 확인
- 호스트명, 게이트웨이(172.16.5.254), DNS 입력 후 다음
- Database설치 OS 는 기본적으로 방화벽을 사용하지 않는다.
- Korean 선택 후 확인
- 시간대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아시아/서울(Seoul) 다음
- Root 암호 설정 후 다음
- 설치할 패키지 세트 사용자 설정하기 선택 후 다음
- 패키지 그룹 선택
응용프로그램
게임과 오락: 체크 해제
서버: 전부 체크 해제
개발도구: 전부 체크
시스템
시스템 도구: 체크 후 자세한 정보 클릭, sysstat 체크 후 확인
인쇄 지원: 체크 해제
- 설치 시작
- 2번째 CD를 넣은 후 확인
- 3번째 CD를 넣은 후 확인
- 4번째 CD를 넣은 후 확인
- 다시 1번째 CD를 넣은 후 확인
- 그래픽 환경 (X 윈도우) 설정 VMWare 선택 후 다음
- 모니터 설정 Generic LCD Display 1024x768 선택 후 다음
- 다음
- 설치 완료
- 설정 시작
- 사용 계약서 동의 선택 후 다음
- 날짜와 시간 확인 후 다음
- 시스템 사용자는 입력하지 않고 다음
- 계속 진행
- 사운드 카드 확인 후
- 추가 CD 없으므로 다음
- 설정 완료
- root 계정으로 putty에 접속하기 위해 sshd_config 파일 수정
#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yes 주석 해제
# service sshd restart
- WinSCP 로 오라클 설치파일을 옮기려는데 속도가 너무 느려서 네트워크 설정을 조금 변경하겠다.
터미널에서 neat 치면 네트워크 설정이 열린다. 편집
- IP 주소 설정을 자동으로 얻기 선택 후 확인
- Network connection을 Bridged에서 NAT로 바꿔준다.
- 네트워크 재시작
# /etc/init.d/network restart
- 오라클을 설치하기 위해 dba 그룹과 oracle 계정 생성
# groupadd dba
# useradd -g dba oracle
# passwd oracle
- WinSCP로 설치에 필요한 파일들을 옮긴다.
- 옮겨진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java 와 오라클 설치에 필요한 설정을 해준다.
# ls /home/oracle
# mv /home/oracle/*.tar.bz2 /usr/local
# cd /usr/local
압축 해제 후 링크 걸고 권한 변경하기
# tar xjf jdk118_v3-glibc-2.1.3.tar.bz2
# ln -s jdk118_v3 java
# chown -R oracle.dba java
# tar xjf jre118_v3-glibc-2.1.3.tar.bz2
# ln -s jre118_v3 jre
# chown -R oracle.dba jre
# vi /home/oracle/.bash_profile
- 기존 파일에 위 내용 추가 할 것. 수정 완료 되면 로그아웃하고 oracle 계정으로 로그인 할 것
umask 022
export ORACLE_TERM=vt100
export LD_ASSUME_KERNEL=2.2.5
export ORACLE_BASE=/home/oracle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8.1.7
export ORACLE_OWNER=oracle
export ORACLE_SID=testdb
export TMP_DIR=$ORACLE_BASE/tmp
export PATH=.:$ORACLE_HOME/bin:/usr/local/java/bin:$PATH
export TNS_ADMIN=$ORACLE_HOME/network/admin
export NLS_LANG=American_America.KO16KSC5601
export ORA_NL33=$ORACLE_HOME/ocommon/nls/admin/data
export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LD_LIBRARY_PATH
export LANG=C
- 권한 변경
# chown oracle.dba /home/oracle/.bash_profile
- runInstaller 권한 변경
Linux_or_817, /install/linux 두 군데 있음
# chmod 755 runInstaller
# cd /install/linux
# chmod 755 runInstaller
- 꼭 oracle 계정으로 로그인(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하면 실행 안됨) 후
Linux_or_817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runInstaller 실행
$ cd Linux_or_817
$ runInstaller
- 오라클 설치 시작 다음
- 파일 위치 확인 후 다음
- UNIX 그룹 이름 dba 입력 후 다음
- 터미널을 열고 root 권한으로 해당 스크립트 실행
# /home/oracle/product/8.1.7/orainstRoot.sh
- Oracle8i Enterprise Edition 8.1.7.0.1 선택 후 다음
- 설치 유형 Custom 선택 후 다음
- 설치 가능한 제품 구성 요소 확인 후 다음
- 구성 요소 위치 확인 후 다음
- Privileged Operating System Groups
Database Administrator Group, Database Operator Group dba 입력 후 다음
- Authentication Methods 확인 후 다음
- Choose JDK Home Directory 확인 후 다음
- Create Database No 선택 후 다음
- 설치
- 설치 중
- 아까 열어두었던 터미널에서 스크립트 실행
# /home/oracle/product/8.1.7/root.sh
- 기본 구성 수행 체크 후 확인
- 설치 완료 종료
- DB 생성
oracle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 dbassist
- Oracle Database Configuration Assistant 데이터베이스 생성 선택 후 다음
- 기본 선택 후 다음
- CD에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복사합니다. 선택 후 다음
- 전역 데이터베이스명 testdb 입력 후 다음
- 예
- 확인
- 데이터베이스 생성 중
- 데이터베이스 생성 완료
- DB생성 완료
$ sqlplus internal
SQL> select status from v$in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