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Oracle

RHEL4 에 yum 설치 방법

dobbby 2013. 10. 17. 11:07
반응형

[출처] http://db.necoaki.net/10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이나 데몬, 그밖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때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소스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컴파일 해서 직접 사용자가 인스톨 하는 방법.

2. RPM 명령어를 사용하여 rpm 패키지의 설치.

3. yum으로 자동으로 내려 받기


리눅스에서 애플리케이션 혹은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할 때, 터미널 상에서 일반적으로 RPM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RHEL4 버전에는 yum이 지원 되지 않습니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페도라나 CentOS에서는 yum을 지원 해주기 때문에 별 어려움 없이 필요한 파일들을 쉽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


RPM 방식의 설치는 의존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yum을 설치하면 관련 파일을 같이 찾아서 설치해줍니다.

의존성이란, 특정 새 패키지 설치시 반드시 필요한,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만 하는 필수 프로그램이 시스템 상에 있어야만 설치가 되는 것을 뜻 합니다.


그래서 yum 설치에 필요한 6가지 .rpm 패키지 파일을 첨부합니다.

리눅스 상에서 직접 내려 받으셔도 되고, 윈도우에서 받아서 WinSCP 같은 유틸을 이용하여 리눅스로 옮겨서 설치 하셔도 됩니다.


 libsqlite-3.2.1-1.i386.rpm


 sqlite2-2.8.17-2.el4.remi.i386.rpm


 python-elementtree-1.2.6-7.el4.rf.i386.rpm


 python-sqlite-0.5.0-1.2.el4.rf.i386.rpm


 python-urlgrabber-2.9.6-1.2.el4.rf.noarch.rpm


 yum-2.4.2-0.4.el4.rf.noarch.rpm


위의 6개의 파일을 받아 설치 하시고, 몇가지 세팅만 하면 RHEL4 에서 yum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파일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설치 하셔야 합니다.


그럼 WinSCP를 이용해 리눅스에 yum을 설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vi /etc/ssh/sshd_config


명령을 실행하여 ssh 유틸들이 root 권한으로 리눅스에 접속 할 수 있게 세팅을 해줍니다.

ssh 권한 설정을 해주면 나중에 Putty 같은 ssh 프로그램으로도 리눅스 서버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vi 에디터로 파일을 열면 PermitRootLogin yes 라고 적힌 부분이 있는데, 라인 맨 앞에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이 주석을 #을 지워줍니다.

그리고 Command 모드로 나와서 :wq! 를 입력하고 저장 및 터미널로 빠져 나옵니다.



#/etc/init.d/sshd restart

명령으로 sshd 데몬을 재실행 시켜줍니다.

리눅스는 어떤 설정 파일을 수정하면, 그에 관련된 데몬을 재 시작 시켜줘야 인식을 시작합니다.




그리고나서 


#ifconfig -a


명령을 실행해서 자신의 리눅스 서버의 IP를 확인합니다.




WinSCP를 실행 시킨 후, IP를 입력, Root의 권한으로 접속을 합니다.




6개의 파일을 리눅스 바탕화면 폴더에 복사를 합니다.




물론 바탕화면에서 패키지 파일을 더블 클릭 해주면 X윈도우 환경이 알아서 설치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텍스트 모드를 써야 하겠죠?




터미널을 열고 Desktop 폴더로 이동 합니다. (대문자 주의)


#cd /root/Desktop




#ls -h 


파일 리스트를 확인하고 RPM 명령을 사용하여 6개의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이런식으로 순서대로 6개를 설치해주면 됩니다.



※ RPM 명령어


rpm 명령어를 사용 할 때 옵션이 있습니다.

옵션에 주의하여 설치를 하도록 합니다.


 ● 설치


   rpm -Uvh <패키지파일 (*.rpm)>


   i               - 일반적인 설치

   U (대문자) - 같은 패키지가 존재 할 경우 업그레이드, 없으면 일반 설치

   v              - 설치 과정의 확인

   h              - 설치 진행 과정을 "#"마크로 화면에 출력



 ● 삭제


   rpm -e <패키지 이름>



 ● 설치된 패키지의 확인


   rpm -qa <패키지 이름> → 설치된 패키지 확인

   rpm -qf <패키지 절대 경로> → 이미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rpm -ql <패키지 이름> → 패키지 안의 파일 내용 확인

   rpm -qi <패키지 이름> → 설치된 패키지의 상세한 정보




이렇게 rpm 명령어를 이용해서 6개의 패키지를 설치 했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 갑니다.

yum repository 설정을 해줘야 RHEL4에서 yum을 사용 할수 있습니다.


yum의 정보를 CentOS에서 가져 오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리눅스가 RHEL4가 아니라 CentOS다 라고 속여주는 겁니다.

vi 에디터로 아래와 같은 파일을 작성 합니다.



#vi /etc/yum.repos.d/RedHat-Base.repo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baseurl=http://vault.centos.org/4.9/os/$basearch/

gpgcheck=1


[update]

name=CentOS-$releasever - Updates

baseurl=http://vault.centos.org/4.9/updates/$basearch/

gpgcheck=1



그리고 나서 


#yum list


명령어를 넣어주면 현재 리눅스에 설치된 패키지의 업데이트 목록을 보여주면 설정이 완료 되고, yum을 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yum update     → 업데이트 가능한 모든 파일,데몬,패키지 업데이트

#yum install <패키지 이름>    → 특정 패키지 검색후 의존성 파일까지 모두 설치.

#yum remove <패키지 이름>   → 설치된 패키지 삭제


yum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초보자가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여줍니다.

구하기 어려운 rpm을 찾아 헤멜 필요가 없는데다, 사용중인 리눅스 버전에 맞는 패키지를 찾아 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지요. ^^


※ 만약 key 문제로 설치 할 수 없는 패키지가 있다고 나올때


 RPM-GPG-KEY-CentOS-4


위 파일을 리눅스에 복사한 후, 파일이 있는 경로에서 


# rpm --import RPM-GPG-KEY-CentOS-4


를 실행해주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