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Linux

5-3 디스크 관리 1

dobbby 2013. 9. 9. 14:12
반응형

● 디스크 관리

  1. 파티션 관리

    ]# fdisk -l     =>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목록 확인   

    ]# fdisk  /dev/sda     =>  저장장치에 대한 파티션 관리

    Command (m for help): m     =>  fdis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 목록 확인

    ※ Command Action

        p  :  파티션 정보 확인
        n  :  파티션 생성

        d  :  파티션 삭제

         t  :  파티션 파일시스템 변경

        q  :  변경된 파티션 정보를 적용하지 않고 fdisk 종료

        w  :  변경된 파티션 정보를 적용하고 fdisk 종료

    - 시스템이 설치된 파티션을 변경한 경우 시스템 재부팅 해야만 된다.

 

 

 

 

 

  2. 파티션 포맷

    - 파티션을 초기화하여 시스템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기능

    ]# mkfs  -t  파일시스템  장치파일명

       ※ 파일시스템 :  파일 데이타를 저장하는 방식를 지정

           Windows  OS  :   fat16 또는 fat32(vfat : 읽기 쓰기 가능), ntfs(ntfs : 읽기 가능 >> ntfs-3g : 읽기 쓰기 가능)   

           Linux OS  :  ext3  또는 ext4

    ex)  ]# mkfs -t ext3 /dev/sda9

 

 

 

       ※  swap 파티션 포멧

          ]# mkswap -c 장치파일명

 

  3. 파티션 검사

      ]# fsck -t  파일시스템  장치파일명

      ex)  ]# fsck -t ext3 /dev/sda9

 

 

      ※ 사용 중인 장치(mount장치)들은 fsck 명령을 이용해서 check 해서는 안된다.

         =>  사용 중인 장치를 해제하고 나서 fsck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fsck 명령은 부팅시 장치가 연결(mount) 되기 전에 실행되어 파티션 오류 검사를 한다.

      ※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 발생시 부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가능

          =>  설치 CD로 부팅 후 오류발생 파티션을 검사

          =>  /mnt/sysimage 디렉토리에 모든 파티션이 mount 되어 있다.
               여기서 파일시스템 검사 및 파일 수정이 가능

               CD 부팅  =>    boot : linux rescu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