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Linux

6-3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

dobbby 2013. 9. 10. 15:14
반응형

●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 rpm에 의해 패키지 관리를 할 경우 프로그램 의존성이 가장 큰 단점이 된다.

  - rpm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yum 이다.

    => yum을 이용하면 의존성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을 자동으로 처리


  - yum : 리눅스 패키지 서버를 이용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삭제 또는 업데이트  

    ※ 레드햇리눅스는 라이센스가 있어야 패키지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 패키지 서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 cd /etc/yum.repos.d

    ]# ls -l    => 파일명.repo 파일이 패키지서버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설치 CD를 패키지 서버로 사용  =>  CD가 반드시 mount 되어 있어야 된다.





    

    ]# vi /etc/yum.repos.d/rhel-dvd.repo

     [rhel-dvd]

     name=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ver - $basearch - DVD

     baseurl=file:///mnt/cdrom/Server

     gpgcheck=0






    ]# yum clean all     =>  yum 패키지서버 정보를 초기화




    ]# yum -y install bind    =>  bind 프로그램 설치 

    ]# rpm -qa | grep bind    =>  설치 확인

   



 ]# yum -y remove bind     =>  bind 프로그램 삭제

    ]# rpm -qa | grep bind    =>  삭제 확인 




  - yum 명령


   ]# yum list    =>   패키지 서버의 패키지 목록 확인

   ]# yum install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 설치(패키지가 설치된 경우 버전을 확인하어 업데이트)

     ※ 의존성 문제가 있는 패키지도 같이 설치

   ]# yum -y install 패키지명    =>  -y : 무조건 실행

   ]# yum localinstalll RPM파일  =>  RPM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

   ]# yum check-update   => 현재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가능한 패키지 목록 확인

   ]# yum update    =>  업그레이드 가능한 패키지를 모두 업데이트

   ]# yum update 패키지명   =>  원하는 패키지만 업데이트

   ]# yum remov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반응형